http://hsm-racoon.tistory.com/21?category=988565
라우팅을 하려면 기본적으로 Routing Table을 알아야 합니다.
저번에 했던 포스팅은 라우트 끼리는 통신이 가능하지만
LAN에서 다른 LAN끼리는 통신이 불가능 했습니다.
이유는 바로 거기로 가는 길을 라우터가 모르기 때문이죠.

1.221.80.2에서 61.74.89.253 으로 (그림상 양끝) 에 통신을 한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원래 경로는
1.221.80.1 -> 6.71.13.2 -> 6.71.13.1 -> 6.71.13.5 -> 6.71.13.6 ->
61.74.89.254 ->61.74.89.253
으로 가야합니다.
하지만 지금 Router2는 61.74.89.253의 존재도 모르고 바로 하나 거쳐있는 Router3의 존재도 모릅니다. 따라서 61.74.89.253으로 통신을 하고싶어도 어디로 보내줘야할지 모르기때문에 그것의 길을 알려주는것을 Routing이라고 합니다.
라우팅을 하는법은 '특권모드'에서
ip route (목적지ip주소) (목적지 주소의 서브넷) (보내야 할 곳)
으로 대충 나타낼 수 있는데 일단 우리의 목표는 1.221.80.1에서 61.74.89.253 으로
통신을 하는것을 목표로 해봅시다
Router2의 콘솔로 들어갑니다.
명령어를 다음과 같이 칩니다.

61.74.89.128 255.255.255.128이 61.74.78.253의 ip와 서브넷마스크 입니다.
즉 61.74.89.128 의 영역(255.255.255.128의 서브넷 마스크를 가진) ip를 가고 싶을 경우
6.71.13.1의 길로 안내해라 . 라는 뜻이 되죠
.
61.74.89.253까지 가기위해 거쳐야 하는 아이피는 위에서 봤던대로 입니다.
1.221.80.1 -> 6.71.13.2 -> 6.71.13.1 -> 6.71.13.5 -> 6.71.13.6 ->
61.74.89.254 ->61.74.89.253
이제 6.71.13.5로 가야합니다.
어떻게 경로를 설정해 주어야할까요?
6.71.13.5와 6.71.13.6이 연결된 곳에 ip address는
6.71.13.4 이고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252 입니다.
즉 6.71.13.5에 가기 위해서는 Router2에게 6.71.13.4로 가는 길을 알려주어야 하죠.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추가합니다

저 길을 알려주게 되면 자연스럽게 6.71.13.6도 하나의 영역이기 때문에
1.221.80.1에서 핑을 보낼 수 있게 됩니다.
1.221.80.1 -> 6.71.13.2 -> 6.71.13.1 -> 6.71.13.5 -> 6.71.13.6 ->
61.74.89.254 ->61.74.89.253
61.74.89.254로 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아할까요?

현재 Router3 밖에 61.74.89.254의 존재를 알지 못합니다.
61.74.89.254는 61.74.89.253과 연결되어 있으니
61.74.89.254를 Router3까지만 전달하면 될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Router2에게 61.74.89.254의 ip주소와 서브넷마스크를 알려주고
Router4로 가라고 하면 되겠네요?
Router2에게 라우팅을 해줍시다.
ip route 61.74.89.128 255.255.255.128 6.71.13.1
61.74.89.128 영역에 있는 ip에 접근하려면 6.71.13.1로 가세요 ~
그럼이제 Router4로 길안내를 받습니다.

하지만 Router4도 저 영역의 존재를 알 리가없습니다.
그래서 Router4에게도 알려주어야 하죠
ip route 61.74.89.128 255.255.255.128 6.71.13.6
61.74.89.128 영역의 ip에 접근하려면 6.71.13.6으로 가세요~
그렇다면 자연스럽게 Router3로 안내받게 되고 Router3는 61.74.89.253의 존재를 알기 때문에
통신이 가능하게 됩니다.
다시 정리를 해봅시다.

Router2의 현재 라우팅 상황입니다.


Router2가 모르는 영역은 동그라미친 3개입니다.
라우팅 상황은 특권모드 (R1#)에서 show ip route 를 치면 알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다이렉트로 꽂혀 된 라우팅은 옆에 C로 나타나있고
수동으로 입력해준 라우팅은 S로 나타나 있습니다
첫번째 S가 1번 영역에 대해 알려주는것이고
두번째 S가 2번영역
세번째 S가 3번 영역에 대해 알려주는 겁니다.
공통점이 있는데 바로 모두 6.71.13.1로 보내준다는 것이죠.
이럴땐 번거롭게 하지말고 하나로
Default Routing을 할 수 있는데요
바로
ip route 0.0.0.0 0.0.0.0 6.71.13.1
입니다.
라우팅 테이블로 계산을 할때. 그냥 외부로 나가야 하는 모든 패킷은 6.71.13.1 (Router4)로 다 보내버리는 겁니다.

Router4도 3가지에 대해 모릅니다. 다음은 Router4의 테이블입니다.

첫번째 S가 1번영역
두번째 S가 2번영역
세번째 S가 3번영역 을 알려주는 것이죠.
다음은 Router3입니다.

Router3 는 두 가지 영역을 알 수가 없습니다. 다음은 Router3의 테이블입니다.

첫번째 S가 1번 영역
두번째 S가 2번영역 입니다.
이번에도 공통점이 있죠? 모두 6.71.13.5로 안내를 한다는 것입니다.
ip route 0.0.0.0 0.0.0.0 6.71.13.5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처럼 라우터는 자신이 직접 연결된 선만 알기 때문에 라우터를 거쳐가는 길에 대한 정보를 알려줘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라우팅 입니다.

마지막으로 PC0 (1.221.80.2) 에서 반대편인 61.74.89.2와 61.74.89.253 과
통신이 성공한 모습입니다.
라우터를 설정한 후에 특권모드(R1#)에서
copy run start
엔터
로 저장은 필수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