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rchive.org/details/CiscoPacketTracer6.0.1ForWindowswithTutorials_201412
여기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실행 화면입니다. 교육용으로 나온거기 때문에 가볍고 좋습니다.
GNS3로 WAN을 설정하면 프로그램이 너무 무거워져서 힘들지만
이것(CPT)를 이용하면 가볍게 네트워크 튜토리얼이 가능합니다.
밑에서 이것저것 끌어와서 일단 기본적인 셋팅을 해봅시다.
일단 GNS3에서 (전에 포스팅 했던것을 그대로 가져와봅시다.)
ip address 는 1.221.80.0 이고
subnetmask는 255.255.255.240 입니다.
따라서 할당할수 있는 ip영역은
1.221.80.1~1.221.80.14 까지입니다. 0 과 15는 할당 불가 (주소,브로드케스트)
*이유는 옆에 게시판 리스트에 '네트워크' 들어가셔서 Subnetmask 포스팅한것 확인 부탁
일단 선을 연결해야겠죠?
PC-스위치는 다이렉트 케이블로 연결합니다.
스위치-라우터도 다이렉트 케이블로 연결합니다.
케이블은 밑에 번개모양 누르시고 나오는 선 모양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설명이 나옵니다.
검은색 선이 Straight-Through 케이블입니다. 연결 해줍시다.
이제 ip를 설정 해줘야합니다.
pc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그림에 전원버튼 누르면 정말 꺼지고 합니다.
저기 위에 메뉴에 desktop 눌러줍니다.
ip configuration에 들어가셔서 ip를 설정해줍시다.
1.221.80.2 로 줍시다 (1.221.80.1은 Router 주소입니다)
서브넷마스크는 255.255.255.240 입니다.
게이트웨이는 라우터 주소를 적어줘야겠죠?
저장버튼도 없습니다 그냥 나오면 됩니다.
옆에 랩탑도 설정해줍시다. 15는 브로드케스트 주소라 불가능하니 14번으로 줍시다.
연결된것을 확인하기위해 x 버튼 누르시고 메뉴중에 Command Prompt 들어가서
1.221.80.2 에 핑한번 날려줘봅시다.
잘 가네요? 다음은 라우터입니다.
\
위에 CLI에 들어가면 익숙한 화면이 나오고
저번에 GNS3에서 한것처럼 IP를 설정해주면 됩니다.
명령어를 요약으로 빠르게 쳐줍시다.
en
conf ter
int fasterthernet 0/0
ip address 1.221.80.1 255.255.255.240
no shutdown
exit
exit
ip int bri (확인)
이제 연결이 잘 됐는지 확인 해보기위해 1.221.80.2와 1.221.80.14에 각각 핑을 날려봅시다.
연결이 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LAN하나 생성되었고
오른쪽에 하나 조금 더 큰 LAN을 하나 더 만들어봅시다.
영역이 2개이고 컴퓨터는 대략 한 200대 정도 있다고 가정합시다.
100대는 A부서 100대는 B부서라고 가정을 하고 ip를 신청하여 ip를 받았습니다.
61.74.89.0 /24를 받았습니다.
사용가능한 ip는 61.74.89.1 ~ 61.74.89.254 까지입니다.
하지만 부서별로 영역을 나눠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서브넷 마스크를 /25까지 늘려줍시다.
address | 할당가능한 ip | 브로드케스트 주소 |
61.74.89.0 | 61.74.89.1 ~ 61.74.89.126 | 61.74.89.127 |
61.74.89.128 | 61.74.89.129~ 61.74.89.254 | 61.74.89.255 |
위와같이 나눠줬습니다.
컴퓨터 100대를 다 연결하고 싶지만 편의상 2개만 연결하겠습니다.
라우터에있는 fastethernet 0/0 와 0/1부터 ip를 주도록 하겠습니다
fastEthernet 0/0은 61.74.89.1 을 주고 fastEthernet 0/1은 61.74.89.254를 주겠습니다.
서브넷마스크는 255.255.255.128 입니다. (25개 비트가 1이므로)
위에서 했던 방식 그대로 라우터 이더넷 ip를 설정합니다.
0/0도 해주고 0/1도 해주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설정을 완료하고 PC에도 각각 위에서 했던 방식으로 ip를 지정해줍니다.
(편의상 할당가능한 ip 처음과 끝만 2개 지정하겠습니다.)
다음과같이 ip설정이 끝이났습니다.
61.74.89.2 와 61.74.89.126 의
서브넷마스크는 255.255.255.128
게이트웨이 주소는 61.74.89.1 이되고
61.74.89.129와 61.74.89.253 의
서브넷마스크는 255.255.255.128
게이트웨이 주소는 61.74.89.254 가 됩니다.
다음은 라우터-라우터 끼리 연결하는 것을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네트워크<구축,해킹,보안> > Cisco Packet Trac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co Packet Tracer]Dynamic Routing -OSPF (0) | 2018.02.01 |
---|---|
[Cisco Packet Tracer]오타를 쳤을때 도메인을 찾는 불편함 제거법 (0) | 2018.02.01 |
[Cisco Packet Tracer]Dynamic Routing -RIP (0) | 2018.02.01 |
[Cisco Packet Tracer]Static Routing을 해보자. (0) | 2018.01.31 |
[Cisco Packet Tracer] Router와 Router를 Serial로 연결하여 WAN을 만들어보자. (0) | 2018.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