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레이어 스위치는 L2스위치랑 다르게 트렁크를 지정해줄 필요가 없다.
L3스위치는 라우팅기능을 추가해주어야 L3스위치처럼 작동한다.
실제로도 L3스위치를 구비해놓고 라우팅기능을 넣지않으면 L2스위치랑 똑같다.
위와 같이 환경을 설정할 것이다.
VLAN을 나누는것은 똑같다.
전에 포스팅 한것과 똑같다. 인터페이스 나눠주자.
VLAN을 나눠주고
확인한다.
L3 Switch는 라우터 기능까지 있기때문에 스위치 자체가 라우터 기능도 한다.
따라서 트렁크포트를 지정해줄 필요가 없다.! 바로 VLAN에 아이피를 주도록 하자.
이런식으로 바로 int vlan 10 , int vlan 20 같이 VLAN 이름을 지정하여 바로 지정이 가능하다.
show ip interface brief / 줄여서 sh ip int bri 를 입력하여 아래로 내려보면
VLAN 10, VLAN 20에 IP가 지정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 192.168.0.2 PC에서 같은 VLAN인 192.168.0.3에는 ping이 보내지는데
192.168.0.129 인 옆 VLAN에는 ping이 가지않는다.
왜그럴까?
이유는 아까 말했듯이 라우팅 기능을 L3 Switch에 지정을 해주어야 한다.
명령어는 간단하다.
ip routing
이것을 해주고 sh ip rou 명령어로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자.
다시 ping을 보내면 잘 가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네트워크<구축,해킹,보안> > Cisco Packet Trac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co Packet Tracer] VLAN을 설정해보자(1)-L2 Swith (0) | 2018.02.01 |
---|---|
[Cisco Packet Tracer] NAT에 대해 알아보자.(3)-NAT-PAT (0) | 2018.02.01 |
[Cisco Packet Tracer] NAT에 대해 알아보자.(2)-Dynamic (0) | 2018.02.01 |
[Cisco Packet Tracer] NAT에 대해 알아보자.(1)-Static (0) | 2018.02.01 |
[Cisco Packet Tracer]Dynamic Routing -OSPF (0) | 2018.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