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LSM은 가변길이 subnetmask이다.
만약 회사에서 ip를 할당하는데
120 /50/ 25/ 5 로 할당 해야한다면 이걸 내가 할당받은 ip내에서 반만으로 쪼갤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VSLM을 쓰는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만약
120 / 50 / 25/ 5를
211.20.115.0의 IP로 나눈다고 해보자. (편의상 마지막 옥텟만 2진수로 한다.
211.20.115. 0 | 000 0000 ->NET | 255.255.255.1000 0000(128) -subnet mask | ||
111 1111 -> BC | 2^7 -2개 까지 할당가능 (126개) | |||
1 | 0 | 00 0000 ->NET | 255.255.255.1100 0000(192) | |
1 | 0 | 11 1111 ->BC | 2^6 -2 개 까지 할당 가능 (62개) | |
1 | 1 | 0 | 0 0000->NET | 255.255.255.1110 0000(224) |
1 | 1 | 0 | 1 1111->BC | 2^5-2개 까지 할당 가능 (30개) |
1 | 1 | 1 | 0 0000->NET | 255.255.255.1110 0000(224) |
1 | 1 | 1 | 1 1111->BC | 2^5-2개 까지 할당 가능(30개) |
NET -> network address
BC -> 브로드캐스트
이와같이 서브넷 마스크를 다시 서브넷 하여 가변길이로 만들어줘서 좀 더 ip낭비를 줄이는것을 VLSM이라고 한다.
'네트워크<구축,해킹,보안> > 개념,WireSha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uting Table이란? (0) | 2018.01.31 |
---|---|
CIDR이란 무엇인가? (0) | 2018.01.31 |
SubnetMask (0) | 2018.01.31 |
Network Class란 무엇인가? (0) | 2018.01.31 |
WireShark 패킷분석 (0) | 2018.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