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ias는 별명같은 것이다. 네트워크를 설정할 때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이것을 매번 쓰기에는 너무나 귀찮다. 이런 명령어들 때문에 alias가 존재한다.
alias netconf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을 입력하면
netconf 라는 명령어만 써도 자동으로 따옴표 안에 있는 명령어가 실행이 된다.
자신이 무슨 별명을 설정했는지 궁금하면 그냥 alias 를 쳐보면 나온다.
그래서 우리는 별명이 지정된 네트워크 설정에 들어가보면 다음과 같이 나타나있다.
실제로 외부에 연결이 되게 설정하여 보자.
다음과같이 기본설정에서 ONBOOT=YES만 바꿔주면 된다.
IP랑 게이트웨이 서브넷마스크 이런거 써줄 필요가 없다.
그다음에 머신-설정-네트워크에 들어가면
다음으로 연결됨 부분에 NAT로 바꿔준다. NAT는 주소를 변환해주는 역할이다.
그다음 명령어에 service network restart를 입력해주고 조금 기다려서 완료가 되면
8.8.8.8에 ping을 보내주자.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었다면 핑이 갈 것이다.
'운영체제<구축,해킹,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 Server2012 설치 (0) | 2018.03.11 |
---|---|
[HDD]HDD 내용을 강제로 삭제하여 부팅을 못하게하는 악성코드 분석 (0) | 2018.02.18 |
[CentOS]root가 자리를 비웠을 때, 최고권한 뺏어오기 [하이재킹] (0) | 2018.02.06 |
[CentOS] root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때, 재설정 방법 (0) | 2018.02.04 |
[CentOS]CentOS 6.5 설치 (0) | 2018.02.04 |